AI프로젝트 국가대표 서바이벌 시작…각양각색 후보들 '채점표' 마련이 관건
입력 2025.09.25 07:00
    과기정통부, 11월 말 1차 단계평가 기준 발표
    5개 컨소시엄, AI 모델 영역·크기 각기 달라
    "공정성·객관성 어떻게 확보하냐" 우려도
    과기정통부 "주관 사업자 의견 계속 수렴"
    • (그래픽=윤수민 기자) 이미지 크게보기
      (그래픽=윤수민 기자)

      정부가 인공지능(AI)을 국가 핵심 역량으로 키우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는 가운데 정보기술(IT)업계에서는 한국형 대규모언어모델(LLM) 개발 프로젝트를 향한 기대와 우려가 함께 나오고 있다. 

      프로젝트 주관 사업자로 선정된 5개 기업 중 일부를 최종 사업자로 선정해야 하는데, 평가 기준을 두고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겠냐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의 1차 단계 평가 기준을 올해 11월 발표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프로젝트 참여 기업들로부터 평가 기준과 관련한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과기정통부는 정기적으로 기업들의 의견을 모아 1차 단계 평가와 관련한 구체적인 기준을 결정하겠다는 구상이다.

      다만 프로젝트 참여 기업마다 목표와 형태가 다른 AI 모델을 개발하고 있어 과기정통부가 일괄적인 평가 기준을 적용하기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만든다는 기본적인 목표는 같지만, 프로젝트 참여 컨소시엄마다 AI 모델의 크기와 활용 방향, 사업 영역은 각기 차이가 있어 평가 기준이 복합적이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한 IT기업 대표는 "컨소시엄마다 모델 특징과 활용 목표가 달라 모두 동의하는 평가 기준이 있을지 의문"이라며 "앞으로 탈락할 기업들에 관심이 쏠릴 터라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 기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평가 항목의 하나로 다운로드 수도 언급됐다고 안다"며 "한국형 AI 모델을 개발하겠다는 방향성 안에서 구체적인 항목을 선정하고 다듬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했다.

      과기정통부의 평가 기준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는 이번 프로젝트가 정부의 AI 3대 강국 도약 계획의 발판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앞서 국가인공지능위원회는 한국형 LLM을 개발하기 위해 '월드 베스트 LLM'(WBL)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미국과 중국 등 국가 간 AI 패권 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한국에서도 세계적인 수준의 LLM이 나올 수 있도록 지원을 집중하겠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은 정부가 WBL 프로젝트를 구체화한 것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한국형 LLM을 개발할 기업들을 선정하고, 이들 기업에 AI 모델 개발과 학습에 필요한 그래픽처리장치(GPU)와 데이터, 인력 확보를 위한 비용을 지원할 계획이다. 네이버클라우드와 SK텔레콤, 업스테이지, NC AI, LG경영개발원 AI연구원을 비롯한 5개 기업이 현재 주관 사업자로 선정됐고, 이들 기업은 각각 구축한 컨소시엄을 통해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정부의 프로젝트 계획에 따르면 이들 기업은 고성능 GPU 대여와 데이터셋 가공·구축, 연구개발(R&D) 인력 영입 등에 2000억원이 넘는 자금을 지원받는다. 한국형 AI라는 점을 강조할 수 있도록 K-AI 모델이나 K-AI 기업이라는 이름을 대외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정부가 AI를 국가 핵심 산업으로 육성하려는 가운데 한국 대표 AI 기업이라는 상징성을 함께 얻는 셈이다.

      정부의 집중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는 프로젝트인 만큼 주관 사업자로 선정되지 못한 일부 기업은 투자자들의 실망을 산 분위기다. 실제 기업 주가도 프로젝트 선발 결과에 따라 흐름이 갈렸다. 결과 발표 당일, 네이버의 주가는 주관 사업자로 선발된 네이버클라우드 등으로 인해 전일 대비 4% 오르면서 장을 마쳤다. 반면 주관 사업자로 선정되지 못한 카카오는 주가가 장중 2% 하락한 데 이어, 다음 날까지 하락세를 이어갔다.

      이번 프로젝트의 선정 결과와 관련해 일부에서는 미공개 정보를 활용한 주식 거래 의혹도 일었다. 이춘석 의원이 이번 프로젝트의 주관 사업자가 발표된 날 국회 본회의장에서 네이버, LG CNS 등 프로젝트 주관 사업자들의 컨소시엄에 포함된 기업들의 주식을 차명으로 거래했다는 의혹에 휩싸이면서다. 과기정통부는 이와 관련해 사실조사를 진행했고,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역시 "결과를 국정기획위에 알릴 의무도 없었고 이야기할 시간도 없었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