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 News

내용 같이보기 | 제목만보기
  • 권성문-이병철 주식매매계약 체결...KTB證 분쟁 수습 국면
    KTB투자증권 경영권 분쟁이 수습 국면에 접어들었다. 갈등의 당사자인 권성문 회장과 이병철 부회장이 진통 끝에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한 것이다. 권 회장과 이 부회장은 3일 오후 3시경..
    2018.01.03|이재영 기자
  • KTB證 분쟁, '우선매수권' 수정 제안으로 막바지 협상...결렬시 제3자 매각
    KTB證 분쟁, '우선매수권' 수정 제안으로 막바지 협상...결렬시 제3자 매각
    권성문 회장-이병철 부회장의 KTB투자증권 경영권 분쟁이 종료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2일 오후부터 '우선매수권' 수정 제안이 이뤄졌고 양측이 협상을 재개, 막바지 단계에 진입 중이다...
    2018.01.03|현상경 기자, 이재영 기자
  • '아마존'서 위기 해법 찾는 금융그룹 수장들
    주요 금융그룹 수장들이 일제히 새해의 화두로 미국의 정보통신기술(ICT) 기업 '아마존'(Amazon)을 꺼내들었다. 전통 금융업의 영역에 머물러서는 4차 산업혁명의 조류에서 뒤처질 수밖에..
    2018.01.03|위상호 기자
  • 오일뱅크 IPO로 현금 쌓는 현대중공업, 非조선 강화 발판 구축
    오일뱅크 IPO로 현금 쌓는 현대중공업, 非조선 강화 발판 구축
    현대중공업그룹이 수년간 묵혀왔던 현대오일뱅크의 기업공개(IPO) 카드를 결국 꺼냈다. 당분간 조선업의 호황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향후 수년간 버틸 수 있는 체력을 비축하려는..
    2018.01.03|한지웅 기자
  • [인포그래픽]현대오일뱅크 2018년 IPO 추진
    [인포그래픽]현대오일뱅크 2018년 IPO 추진
    2018.01.03|한지웅 기자, 윤수민 기자
  • 모태펀드 신규예산 대폭 늘어난다
    모태펀드 신규예산 대폭 늘어난다
    정부가 올해 모태펀드 신규예산을 확정했다. 예산이 예년 보다 크게 늘어 모태펀드가 벤처·스타트업을 견인하겠다는 의지를 다졌다는 평가다. 대규모 벤처 투자금 유입으로 신규 투자가..
    2018.01.03|경지현 기자
  • "인재 부족·수익성 저하"…IPO 대비 체력 개선 시급한 세븐일레븐
    "인재 부족·수익성 저하"…IPO 대비 체력 개선 시급한 세븐일레븐
    롯데그룹이 '오너 부재'라는 최악의 악재에서 벗어나면서 그동안 미뤄졌던 호텔롯데 등 비상장사들의 기업공개(IPO) 작업도 재개될 전망이다. 편의점 세븐일레븐으로 알려진 코리아세븐도..
    2018.01.03|김은정 기자
  • 롯데지주, 6개 비상장 계열사 흡수합병…순환출자 완전 해소
    롯데지주가 6개 비상장 계열사를 흡수 합병해 순환출자를 완전 해소한다. 롯데지주와 롯데지알에스, 한국후지필름, 롯데로지스틱스, 롯데상사, 대홍기획, 롯데아이티테크는 2일 각각..
    2018.01.02|김은정 기자
  • VIG파트너스, 유영산업 경영권 2200억에 인수
    VIG파트너스가 운동화 섬유소재를 제작·납품하는 유영산업의 경영권을 인수했다. VIG파트너스는 지난달 28일 특수목적회사(SPC)를 통해 유영산업의 지분 100%를 총 2200억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2018.01.02|한지웅 기자
  • KTB證 권성문ㆍ이병철 분쟁 종식? 심화?...우선매수권 '시각차'
    KTB證 권성문ㆍ이병철 분쟁 종식? 심화?...우선매수권 '시각차'
    권성문 회장과 이병철 부회장의 KTB투자증권 경영권 분쟁이 새로운 단계에 접어들게 됐다. 2대 주주인 이 부회장이 1대 주주 권 회장 보유 지분에 우선매수권을 행사하겠다고 밝혔다...
    2018.01.02|현상경 기자, 이재영 기자
이전 이전1361136213631364136513661367136813691370다음 다음

주요뉴스

증권사에 쏠리는 '생산적 금융' 부담…딜 소싱에 펀딩까지 '이중고'
증권사 공채, 호황기에도 '양극화'…대형사는 늘리고 중소형사는 관망
상장 리츠들, 기관發 부동산 에쿼티 출자 앞두고 자산 확보 경쟁 치열
RWA 벽에 막힌 금융지주 캐피탈사…출자 '선택과 집중' 고민
올해 EB 70%가 자사주 기반…소각 의무화 앞두고 '꼼수 논란'